[모두의 네트워크 기초] 1장 네트워크 첫걸음
모두의 네트워크 2회독 겸 정리를 위해 올리는 게시글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네트워크란
: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한 것
: 각종 통신 장비들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협력해 일하게 해주는 통신망
인터넷으로 뉴스를 읽고, 검색하고, 이메일을 보낼 때 모두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네트워크는 왜 필요할까?
1. 컴퓨터와 주변 장치 연결에 사용
※ 주변 장치 : 컴퓨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장치 ex) 프린터, 태블릿, 스마트폰
2. 파일 전달 또는 문서 공동 작성, 편집에 사용
3. 팀 단위의 공동 작업(각자의 PC에서 수행한 작업을 한 곳에 취합) 시 사용
네트워크의 형태 : LAN과 WAN
랜 (Local Area Network)
: 건물 안,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짧은 거리 내에서 컴퓨터, 주변장치를 연결해 사용한다.
집에서 노트북, 프린터만 연결해 사용하는 것도 랜이고, 한 건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컴퓨터,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것도 랜이다.
- 구성 방법
1. 스타형 : 하나의 허브에 여러 컴퓨터 연결
장) 확장하기 쉬움
단) 허브에서 문제 발생 시 전체 통신 불가
2. 링형 : 각 컴퓨터가 서로 원처럼 연결
장) 초기 구성 쉬움
단) 컴퓨터 추가 시 기존 링 절단하고 다시 연결해야 함
3. 버스형 : 하나의 긴 케이블선에 컴퓨터, 주변장치를 모두 연결
장) 비용 저렴, 설치 용이
단) 케이블에 문제 발생 시 전체 통신 불가
왠 (Wide Area Network)
: 2개 이상의 랜을 연결한 것
넓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광범위한 영역을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랜과 같은 '별도 네트워크 접속' 형태는 없음
=> 랜에서 이미 접속 형태를 정의했기 때문에 또다시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가 없음
=> 랜 사이에 통신이 잘 이루어지도록 연결만 해주면 됨
구분 | 랜 | 왠 |
정의 | 근거리 통신망 | 광역 통신망 |
거리 제약 | 10km 이내 | 제약 X |
전송 속도 | 고속 | 저속 |
네트워크 구성 장치
컴퓨터와 컴퓨터가 통신하기 위해서는케이블 외에도 다양한 접속 장치가 필요하다.
- 접속 장치
허브 : 여러 대의 컴퓨터 연결
스위치 : 대역폭 확대
라우터 : 컴퓨터 B를 찾아가기 위한 길 제시
브리지 :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연결,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달
※ 대역폭 (bps, bit per second)
: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대역폭 = (용량 * 8) / 처리 시간
=> byte에서 bit로 변환 위해 8 곱함
※ bit, byte
bit : 컴퓨터가 이해하는 0과 1
byte :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정보의 단위
byte -> kb -> mb -> gb -> t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