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 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x, y), (p, q)라고 할 때 x > p 그리고 y > 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 177), (45, 165)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 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로, "덩치"로만 볼 때 C와 D는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N명의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는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의 수로 정해진다. 만일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k명이라면 그 사람의 덩치 등수는 k+1이 된다. 이렇게 등수를 결정하면 같은 덩치 등수를 가진 사람은 여러 명도 가능하다.
- 풀이
키와 몸무게를 입력값으로 받아 StringTokenizer로 2차원 배열에 각각 저장했다.
그리고 등수 변수 count를 1로 설정해, 다른 인덱스와 비교했을 때 키, 몸무게가 더 큰 자료가 있으면 하나씩 증가(등수는 하락)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속도가 빠른 StringBuilder을 이용해 해당 등수들을 이어붙여 결과값을 출력했다.
public class Physical {
public static String rank(int[][] physical){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0;i<physical.length;i++){
int count = 1; //등수
for (int j=0;j< physical.length;j++){
if (i==j) continue;
if (physical[i][0]<physical[j][0] && physical[i][1]<physical[j][1]){ //몸무게, 키 두 요소가 더 큰 수치가 있을 때
count++; //등수 하락
}
}
sb.append(count);
if (i<physical.length-1){
sb.append(" ");
}
}
return sb.toStr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umber = Integer.parseInt(br.readLine()); //입력값 1 : 입력할 수치 개수
int[][] physical = new int[number][2]; //덩치 배열 => 2차원 배열 (몸무게, 키)
for (int i=0;i<number;i++){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입력값 2 : 몸무게 + 키
physical[i][0] = Integer.parseInt(st.nextToken()); //몸무게
physical[i][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키
}
System.out.println(rank(physical));
}
}
'Programming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DP(Dynamic Programming, 동적 계획법) (0) | 2023.04.07 |
---|---|
[자료구조] 선형 구조 -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 (0) | 2023.03.20 |
[백준/자바] 브루트포스 2798번 - 블랙잭 (0) | 2023.03.04 |
[백준/자바] 재귀 24060번 - 병합정렬 (0) | 2023.03.01 |
재귀 알고리즘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