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컨퍼런스

(7)
[인프콘2024] 컴퓨터 밑바닥에서 찾는 개발자 성장의 비밀 know = 설명할 수 있음 "개발자가 성장하려면 제대로 알아야 한다"    CPU  CPU = CPU Core + Controllers Core : 소프트웨어 해석, 실행 담당 => 연산 처리Controller :  연산 결과에 따른 CPU 주변 장치 제어 담당 => 주변 장치(H/W)별로 존재 ※ 컴파일 : 자연어를 CPU 코어가 이해할 수 있는 CPU 명령어로 변환하는 과정=> CPU 내부의 트랜지스터는 전기신호(전압)로 이진 데이터 처리=> 0과 1은 사람이 이해하는 자연어이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면서 CPU가 해석할 수 있게 됨  3. 왜 앱은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로딩되어야 실행되는 건가요? ※ 파일은 소프트웨어만이 다룰 수 있는 단위 (CPU 기계는 다룰 수 없음)=> 소프트웨어 형태를 하드..
[인프콘 2022] 나도 내 코드의 문제를 찾고 싶다구요?! - 테스트 할 때 기억할 7가지 https://www.youtube.com/watch?v=QsD1hCzaGCU 외부 인터페이스(UI, API..)에서부터 테스트문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내부 코드보다 외부 인터페이스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하다.내부 구현 코드부터 들여다보면 개인이 자율적으로 구현한 것이기 때문에 생각에 오류가 있는 채로 개발했을 수 있고 이때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다른 개발자에게 설명할 때 다소 주관적으로, 감정적으로 설명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반대로 외부 인터페이스는 요청/응답한 객관적인 데이터 중심으로 소통하게 돼서 원인을 빠르게 좁혀나가기 쉽다. 1. 외부 인터페이스 모두 찾기2. 메시지 모두 찾기3. 메시지 전체 흐름 이해하기4. 기준을 갖고 테스트하기  사용자 관점에서 통합 테스트하기 테스트 꼭 진행..
[goorm COMMIT] 더 나은 코드를 위한 켄트 벡의 Tidy First? 요약 노트유기체적 공진화서로 상호작용하며 함께 진화하는 현상  리팩토링 vs 코드 정리형태 같으나 의미, 목적 다름 (리팩토링 : 확장성, 유지보수성 등 구조 개선 / 코드 정리 : 가독성 개선에 중점) structure / behavior 변경 둘 중에 하나 선택해서 하기 (동시 x) 1시간 이상 소요되면 관련해서 갈등 발생할 수도 있어 문제가 됨  소프트웨어 = fractal하게,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 = 동작(외부, 현재 가치) + 설계(내부, 미래 가치)  결합 ⬆️ => 변화 발생 시 예상치 못한 결과 초래일대다, 연쇄 작용 유의해야 함의존성이나 관계는 피할 수 없음=> 결합도 줄이고 응집도 높이는 방법 계속 익히기  개발 문화 - 코딩 기술력 밀접한 연관 있음문화가 상명하복인데 좋은 기술, ..
[당근 ML 밋업] LLM을 프로덕션에 적용하며 배운 것들 https://www.youtube.com/watch?v=NzxlIGPbICY   내용 활용중고거래 : 관련된 키워드로 추천, 광고 노출동네생활 :장소 이름 추출, 정보 제공동네생활 : 별도 해시태그 사용하지 않아도 해시태그 생성, 추천태그에 노출모임 : 모집하는 나이, 성별, 주제 기반 모임 추천부동산 : 복붙한 줄글을 인식하고 입력폼 자동 작성  실시간 LLM 파이프라인  TIP 1 : 프롬프트의 중요성프롬프트는 자연어로 작성돼 태생적으로 모호함띄어쓰기, 줄바꿈으로 결과가 달라지기도 함  TIP 2 : 반복된 실험, 평가1. 평가 데이터셋 마련하기중요한 엣지 케이스 포함, 보완 2. 자동화된 배치 평가 파이프라인 마련하기Task-specific MetricError / Invalid format Ra..
[NHN FORWARD 22] 클린 아키텍처 애매한 부분 정리해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6Tg6_qpIVc   정리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가치 : 기능, 구조보통 기능>구조라고들 생각하지만 로버트 C 마틴은 "구조 > 기능"이라고 함기능은 구조에 의지함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목표시스템을 만들고 유지보수하는 인력을 최소화하는 것  좋은 아키텍처= 수정 쉬움 = 수정하는 비용 적음  좋은 아키텍처 만드는 방법패러다임설계원칙(SOLID)컴포넌트 응집성 원칙컴포넌트 결합 원칙  아키텍처 패턴계층형, 클린, 헥사고날 등  패키지 구조 클린 아키텍처는 애매하다하나의 다이어그램으로 정의되지 않음수많은 원칙, 실천법으로 구성됨 클린 아키텍처를 구성하기 위한 핵심 규칙은 2개뿐1. 중요도에 따라 계층을 나눈다.2. 의존성은 내부, 고수준을 향한다..
[2023 클라우드 컨퍼런스] Cloud Native 성공 전략 유튜브 링크  요약 노트Cloud Native ⊃ DevOps( CI/CD ), MSA, Container, Cloud fit Cloud Native = 변화, 혁신MSA는 모놀리식보다 비싸다애자일 문화가 없는 MSA는 효과가 없다=>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혁신하지 않을 것이면 Cloud Native, MSA 이행할 필요가 없다 보안 정책의 변화네트워크 경계 중심에서의 보안 → 제로 트러스트외부로부터의 보안, 보호 중심 → 내부 보안 (마이크로서비스별) 강화, 데이터 보호 중심 혁신의 주기는 일, 주 단위 DevOps 의 핵심은 애자일함 절대적인 정답은 없고, 상황에 맞춘 전략 수립이 중요함   후기발표자 분의 강연 능력이 너무 좋으셔서 집중이 잘 됐다. 클라우드 네이티브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본 영상이..
[DDC 2023] dev day 컨퍼런스 후기 (적고 나니 후기보단 일기가 되었다)개발 관련 컨퍼런스에 처음으로 다녀온 후기!친구 초대 이벤트에 당첨돼 컨퍼런스 소식을 공유해준 팀원과 무료로 참여할 수 있었다.총 6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첫 번째 세션과 세 번째 세션이 내가 궁금했던 IT 분야에서의 도전, 성장에 대한 막연함을 풀어줬다. 이번 포스팅에서 해당 세션들에 대한 후기를 상세히 적으려 한다.부스 이벤트컨퍼런스 시작 전에 여러 협찬사들 부스에 들러 이벤트에 참여했다. 지금 팀 프로젝트를 AWS EB, EC2로 운영 중이어서 AWS 컨설팅 기업인 베스핀 글로벌이 눈에 띄었다. (비즈니스 컨설팅이 아닌 개인적인 도움을 받고 싶었다ㅎ) JSON 기반 애니메이션 포맷을 제공하는 Lottiefiles도 인상깊었다. 애니메이션과 J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