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결과는.. 85~90점 예상으로 합격권이다! 룰루
베이스
비전공 + 개발 1년차 + 실기 1회 탈락 경험
비전공자지만 개발을 1년 정도 해서 프로그래밍, SQL 문제에는 큰 걱정이 없었다. 작년에는 수제비 책 1편만 보고 가서 장렬히 탈락했다..ㅎ
준비 기간 및 공부법
준비기간 : 3주 (평일 점심&퇴근 후, 주말)
공부 범위 : 2023 수제비, 기출 20-23, 예상 문제
2주 정도는 개념서를 꼼꼼히 읽으면서 공부했다. 프로젝트를 경험해본 후 공부하니 재밌기도 하고 이해도 더 잘 됐다. 1편, 2편으로 나뉜 책 중 1편은 실무에 도움될 개념들이 많아서 다소 느리게, 이해하면서 공부하고자 했다. 2편은 보안 챕터에서 정말 포기하고 싶었으나.. 1편보다는 후루룩 암기 위주로 넘어가면서 무사히 공부를 마쳤다. 보안 챕터는 정말 기출+오답으로 암기하는 것 밖엔 답이 없는 것 같다.. DES AES SEED HAS-160 안녕..
마지막 1주는 기출, 예상문제를 풀고 오답노트를 정리하면서 본격적으로 암기에 집중했다. 기출문제, 예상문제는 구글링해서 해설이 있는 블로그에서 풀었다. 20-23년도 기출과 SQL, 프로그래밍 예상문제를 풀고, 노션에서 틀린 문제와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해 오답노트에 작성했다. 선택지에 있는 것만 정리하지 않고 그 개념을 검색했을 때 같이 나오는 개념들도 다함께 정리해 더 확실히 공부하려고 했다.
결론은 개념서, 기출 문제를 토대로 암기가 잘 안 되는 내용이나 헷갈리는 내용, 틀린 문제 관련 개념들을 오답 노트에 정리하며 확실히 암기해갔다.
+ C언어는 배운 경험이 없어 포인터 개념이 이해가 잘 안 됐다. 유튜브에서 상위에 뜨는 영상들 2개 정도를 보면서 문제를 풀 수 있을 정도로 개념을 익혔다.
시험 후기
시험은 생각보다 쉬웠다. 프로그래밍 문제는 기존 기출보다 난이도가 높았는데 이론 문제는 보기들도 많이 주어져서 풀만 했다. 페이지 교체 문제는 시간이 없어 개념서에서 대충 지나쳤는데 나와서 당황했다. 그래도 그 대신 다른 개념들을 확실히 공부할 수 있었어서, 버릴 문제는 버리는 게 맞다고 여전히 생각한다.
TIP
1. 프로그래밍 문제
최근에는 프로그래밍 문제들이 많이 나오고 난이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기출문제, 예상문제를 많이 푸는 것도 좋지만 새로운 유형이 나와도 스스로 풀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2. 영어 약어 암기
영어 단어 위주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보기들이 영어로 구성돼잇고 답도 영어로 작성하라는 문제가 많아서 한국어보다는 영어로 암기하는 게 나을 것 같다.
3. 기출만?
기출만 돌리라는 분들도 많은데 평소 공부할 때 개념 이해가 먼저 되어야 하는 사람들은 1편 정도는 개념서를 공부한 후 기출 문제를 푸는 것을 추천한다. 나같은 경우에는 기출만 풀었다면 오답노트하면서 관련 개념들을 줄줄이 검색하느라 시간이 더 오래 걸렸을 것이다.
'Programming >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비학원 풀스택 과정 회고 (2022.4 - 2022.12 / 약 8개월) (0) | 2022.12.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