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 버전 관리
이전 시점/위치 저장 => 다음 사용자가 인계받음
Git : 로컬저장소 - 혼자서 버전 관리
Git의 호스팅 사이트 (원격 저장소)
1. GitHub.com
2. GitLab.com :
3. BitBucket.org : 공개저장소 5인 이상 무료
- Github 설정
1. 로컬 저장소 만들기 (=> dogmall-name 폴더)
1) 메모 생성
README.txt => 전체 흐름 메모
2) ☆git bash 실행
git init => 초기화 //.git 숨김폴더 생성됨
2. 첫번째 커밋 만들기
1) 버전관리-내정보등록 //로컬-원격저장소 연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메일" //회사에선 팀장걸로 씀 (내 로컬 저장소 <=> 팀 저장소)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사용자명"
2) 첫번째 커밋 작업
git add dog_food.txt
git commit -m "강아지 사료 분류 메뉴 작업" .//커밋할 자료 설명
3) 두번째 커밋 작업
git add dog_food.txt
git commit -m "대형견 분류 작업" ./m 뜻 : message
git log //해온 작업 출력
git checkout commit id 중 7자리 정도 //버전 관리- 해당 작업 시점으로 이동
git checkout - //최신으로 복귀
3. 원격저장소에 커밋 올리기
1) 원격 저장소(=repository) 만들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이름/aniMall.git //원격저장소와 연결
git push origin master //로컬 저장소 파일을 원격 저장소로 옮기기
//오류 시 제어판-사용자계정-자격증명관리자-github 관련 자격 증명 삭제 //master 오류시 main으로 변경
//계속 오류시 git remote remove origin => 기존 원격저장소와 연결 삭제
//git remote -v
//집에서 오류시 - 폴더 삭제 후 새로 생성 - 처음부터 새로 시작
//해결: git config --global credential.useHttpPath true (중복계정 O) -> git push origin master
이것이 자바다1 1장
JDK : JRE, 컴파일러(javac.exe) 등 개발도구 포함
JRE : 라이브러리
JVM : java.exe 명령어로 구동 / 바이트코드를 기계어로 변환 / 바이트코드는 JVM에 독립적이지만 JVM은 운영체제에 종속적(유동)
- 자바 프로그램 개발 과정
1. 자바 소스 파일 (.java) 작성
2. javac.exe로 바이트코드 파일(.class) 생성
3. java.exe로 JVM 구동
4. JVM은 main() 메소드 찾아 메소드 블록 실행
자바소스파일 - 클래스 이름 => 대소문자 동일해야 함
클래스 블록, 메소드 블록은 반드시 중괄호 {}로 감쌈
실행문 뒤에는 반드시 세미콜론(;)
주석은 문자열 안에 작성 불가 => 문자로 인식됨
- 주석
// 행 주석
/* ... */ 범위 주석
/**... */ API도큐먼트 주석
cf. <!--...--> html 주석
- 이클립스
JDK(JRE) 설치해야만 실행 가능
소스파일 저장 -> 자동 컴파일 -> 바이트코드 파일 생성
워크스페이스 : 프로젝트 생성되는 기본 디렉토리
.metadata : 워크스페이스 경로의 시작
src : 소스파일 저장되는 디렉토리 (.java)
bin : 바이트코드 파일 저장 (.class)
2장
- 이스케이프 문자
\t : 탭
\n : 줄바꿈
\r : 리턴
\" : "
\' : '
\\ : \
\u16진수
- 변수
하나의 값만 저장
선언 시에 사용한 타입의 값만 저장 ex. int num=2.5; 오류
변수가 선언된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 가능 ex. int temp;
초기값이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읽기 불가 ex. int num; \n sysout.print(num) 오류
- 사용 불가한 변수 이름
class, int => reserved 명령어 (이미 사용 중인 단어)
6hour => 숫자로 시작 불가
cf. $value, _age => 가능
- 데이터타입
1byte | 2byte | 4byte | 8byte | |
정수 | byte | short, char | int | long |
실수 | float | double | ||
논리 | boolean |
float fnum=3.7
=> 우항 double)
=> float fnum=3.7f
int num = 5E2; //5*10^2
=> 지수 들어가므로 실수형 => 오류
short a = char b;
=> char에는 음수 없음 -> 메모리보관소 다름
char var = (char) strValue;
=> String은 값X 주소값O
=> 변환 불가
char var3='';
=> 한 문자는 들어가야 함
float var5=10;
=> O
=> int->float 자동형변환
float var5=10.5
=> double -> float
byte a = byteval + byteval;
=> 연산 후에는 int로 자동변환됨
=> int->byte 강제형변환해야 함
- 강제 타입 변환 (casting)
int value=5;
double var=value/2; //자동타입변환 //2
double var=(double)value/2; //강제타입변환 //2.5
String str="20";
int num=Integer.parseInt(str); //Integer.parseInt : 문자열 내용(숫자)을 정수로 변환
- 10->2진수 변환
1. 7.5
=> 7 => 111 / 0.5 (*2) = 1
=> 111.1
2. 25.21
=> 25 => 11001 / 0.21 => 0.21*2= 0.42 / 0.42*2=0.84 / 0.84*2=1.68 / 0.68*2 = 1.36 / 0.36*2~~
3장
- 연산자
피연산자의 수에 따라 단항/이항/삼항 연산자로 구분
비교연산자(< >), 논리연산자(! &&)의 산출타입 => boolean (true/false)
연산식은 하나의 값만 산출
값이 오는 자리엔 연산식도 있음
- NaN값 : 알 수 없는 값
if (Double.isNaN(i))
=> 분모 0 연산 시 NaN 값 산출 가능
int a;
int b;
double c = a*b/2.0;
=> double 값 산출 가능
//
이론 위주 수업이라 그런가 좀 쳐지는 느낌.. 그리고 강사님도 피곤해보이셨다ㅠ 홍삼스틱 받은 거라도 드리고 싶었는데 뭔가 좀 그래 보일까봐 못 드림,,,
'Programming > 국비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428 - 배열 복사, 열거 타입 (0) | 2022.04.29 |
---|---|
220429 - 버전 관리 - CLI, GUI (0) | 2022.04.29 |
220426 - 정렬, 다차원 배열, 기타(운영체제 등) (0) | 2022.04.27 |
220425 - do while, 참조, 비트 이동 연산자, 삼항 연산자, 배열, 향상된 for문, 정렬 (0) | 2022.04.26 |
220422 - 반복문 while, continue, break, 중첩반복문, 라벨링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