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국비학원

220429 - 버전 관리 - CLI, GUI

CLI (Command Line Interface)

: 한줄 한줄 명령 내리는 방식

 

 

  •  

버전관리 시스템 - git

원격저장소 - 팀원 협업 위해 공유하는 공간 ex. github

로컬저장소 - 팀원 개인 작업하는 공간 ex. .git 폴더

 

 

  • (가상) 업무 순서

1. (팀원)로컬저장소 - 팀원 개발

2. (팀원)로컬저장소 => (팀)원격저장소 - 작업 결과 공유 => push (공유장소에 올리기)

3. (팀)원격저장소 => (팀장)로컬저장소 - 팀장이 작업 검토 (팀장로컬-team_dogMall_clone) => clone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전체 다운로드)
4. (팀장) 로컬저장소 => (팀) 원격저장소 - 팀장 수정 후 공유 => push
5. (팀장) 원격저장소 => (팀원) 로컬저장소 - 팀원은 팀장의 수정안 확인 => pull (업데이트 사항만 다운)

 

 

  • git bash

<기본>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닉네임"

git add 텍스트.txt

git commit  -m "설명"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깃허브주소.git

git remote remove origin (이미 origin 설정돼있다고 오류 뜨면 해당 코드 실행)

git push origin master

 

<가상>

1. (팀)원격저장소 => (팀장)로컬저장소

팀장 로컬 폴더(새 파일 다운받을 폴더)에서 git bash 실행
git clone https://github.com/깃허브주소.git .    // repository 하위 폴더만 복제됨
cf.  git clone github주소    //repository 폴더까지 내려받음

2. (팀장) 로컬저장소 => (팀) 원격저장소
git add dog_food.txt   
git commit -m "강아지 옷 관련 페이지 추가" 
git push origin master  

 

3. (팀장) 원격저장소 => (팀원) 로컬저장소
팀원 로컬 폴더에서 git bash 실행
git pull origin master

 

 

 

GUI

<가상>

 

1. 로컬 저장소 생성 및 연결

소스트리

remote : 계정 추가-github, 토큰
create : 로컬저장소 생성
add - 폴더 선택 - 추가 : 로컬저장소-소스트리 연결

 

2. 파일 작성

비주얼스튜디오

폴더 불러오기

새 파일 - 제목.md    => # + 한칸 띄우기 => 소제목으로 인식

 

3. 파일 추가-> 변경-> 재추가

소스트리

스테이지에 파일 추가

커밋

 

비주얼스튜디오

메모 추가

 

소스트리

스테이지에 파일 추가

커밋

 

4. (팀원)로컬저장소 -> (팀)원격저장소(=Github 레포지토리)    //push

소스트리

원격-추가

push-master 체크

 

5. (팀)원격저장소 => (팀장)로컬저장소    //clone

소스트리

뉴탭 - clone

 

6. (팀장) 메모 변경

비주얼스튜디오

새로운 폴더 열기 - 팀장 클론 폴더

메모추가

 

6. (팀장) 로컬저장소 => (팀) 원격저장소     //push

소스코드

파일 스테이지 올리기, 커밋

push

 

7. (팀장) 원격저장소 => (팀원) 로컬저장소     //pull
소스코드

pull